주식추천2 앞으로 미국 증시 10년 박스권 ? 주식, 언제 사야하는가? 드러켄밀러 전망 내용 횡보장중에서도 애플(1976) 홈디포(1978)같은 기업들이 나오기 때문에 ,기업 발굴이 중요하다. 패시브 (ETF) 보다 액티브 가능성이 높다(종목장) 1960~1980년대 박스권(15년간) 3번의 물가상승과 4번의 경기침체와 함께 증시는 박스권에 갇힘. 물가상승과 연동되는 금리 상승, 증시에 부정적 상황 1년이상의 시차를 두고 실업률 본격적으로 상승한다(고용둔화가 일어난다) 실업률 상승(고융둔화)같은 고통 시작하고 나서 인플레가 진정된다. 임긍상승률과 연동되는 소비심리 실질임금이상승하면 다시 소비심리가 상승하고 인플레 가능성 높아진다 실업률이 높아져야 인플레가 잡히고 증시가 올라간다 BofA Cheif 전략가 Michael Hartnett 1. 실업급여 청구 숫자가 350k가 넘.. 재테크 2022. 9. 20. [2021.04.24] 30대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 신사임당 유튜브를 보고 요약. 2021년 올해 92년생은 30살에 접어들었다. 순식간에 저출산의 시대가 다가오고, 주식이나 부동산이나 안오른게 없는 이시국에 어떻게 해야하나? 1. 이를 꽉깨물고 근로소득을 만들기 위해서 취업을 해야한다. - 목돈을 만들어야하기 때문, 1~2%수준의 예금금리? 2. 달러 선물 ETF추천 이꽉깨물고 5년 월 150을 저축해서 그사이에 두번정도 출렁거릴 예정이다. 대한민국 시장은 외풍에 약하기 때문. 언젠가 올라가는 걸 토해낼것이고 그 때 가장 많이 오를 자산은 ? 달러ETF일 것이고, 부동산일 것이다. 4~5천으로도 갭투자가 가능하기 떄문. 3. 미국의 금리인상, 미중갈등 등 시장이 출렁일만한 변화에 대비해야한다. 회사를 안짤린 사람은올라가고 평균은 내려가는+ 저금리시대에 갭투자로 인한 부동산 폭.. 카테고리 없음 2021. 4. 24. 이전 1 다음